부산옛사진

부산대교(6)전차.간선도로정비

포산 2015. 11. 6. 16:45

 

電車架空線連結構造 ... (跳開橋先端部 於)   전차가공선연결구조 ... (도개교선단부 어)
跳開橋電車軌條連結裝置  도개교전차궤조연결장치

 

도개교를 통과하는 전차
간선도로공사... (步道混凝土板鋪裝보도혼응토판포장)

상: 간선도로포장공사... 교석포장

매립지 부분에는 철강을 삽입   基礎混凝土(1:3:6)厚13糎膠石(1:2)厚5糎

하: 膠石포장공사작업

상: 간선도로포장공사
小石塊鋪裝,橋梁取付道路縱斷勾配25分,1個所 施工   소석괴포장,교량취부도로종단구배25분,1개소에시공

소석시공된 도로는 자갈치시장통 도로에 지금까지 남아 있다. 물빠짐효과에 탁월했으리라...
하: 膠石鋪裝工事作業 교석포장공사작업

 

공사착공전 용두산에서 본 용미산일원 해안

목도북토취장평지... 면적4,100평

 

사진 상: 용미산에 초기 신사가 있었는 모양이다.

나는 앨범의 사진을 블로그에 올리면서 많은 궁금증이 생기게 되었다.

주변매립을 위해 많은 흙이 필요하게 되는데 작은 용미산을 깍아 매립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을것이고

"土取場", 영도의 옛지명인 "牧島"가 여러번 기술되고 있는데 매립이전의 지형을 알 수 없어서 명확한 설명을 하지 못한 점에 양해바란다.

블로그의 참고자료: ☞용미산  ☞해안매립이전지도

 


 

토취장현장에 필요한 흙을 조달하는 곳

사토장 : 현장에서 발생한 필요없는 흙을 버리는 곳

목도(牧島): 영도의 지명은 원래는 절영도(絶影島)로 그림자가 끊어진 섬이란 뜻이였다고 한다. 영도란 지명은 첫음절 절이 빠진 이름. 영도섬은 조선시대에 나라의 말을 기르던 곳이라 목도(牧島)라 부르기도 했다.


시대          내용

삼한시대    변한(弁韓)에 소속, 후에 가락국(駕洛國)의 속령(屬領)

신라시대    거칠산국(居漆山國) 속령(지증왕 6년) 

고려시대    동래현(東萊縣) 소속

조선시대    동래부(東萊府) 관할

1881년       절영도진(絶影島鎭) 설치

1910년 10월 01일 총독부령 제7호(10.1 공포)로 행정구역 개편, 동래부를 부산부 개편

1914년 03월 01일 총독부령 제111호(1913.12.29공포)로 행정구역 개편
                   부산부를 부산부(중·서·동·영도구지역)와 동래구 (옛 동래부 일부 지역과 기장군 포함)으로 행정구역 조정

1916년                절영도 대풍포 매축공사 착공(1926. 06 준공)

1923년 06월 20일  영도에 수산시험장 개설(현 국립 수산진흥원)

1924년                부산 수상경찰서 영도에 신설

1926년 06월         절영도 대풍포 매축공사 준공

1931년 07월 08일  영도대교 선류장 및 남항방사제 착공

1932년 03월 08일  영도대교 착공(당시의 명칭은 부산대교 였음)

1934년 11월 23일  영도대교 준공 개통

1935년 02월         목도(영도)선(대교동~영도대교~남항동 시장) 선로(복선) 연장 개통

1939년 01월 02일  부산남항 매축공사 준공

1945년 05월 05일  국립해양대학 개교(한국해양대학교 전신)

1951년 09월 01일  영도출장소 설치

1957년 01월 01일  영도구로 승격

 

영도역사자료출처 :  https://tour.yeongdo.go.kr/05story/01_01.asp